- 박사논문 “Deeper Processing: Spreading Elaboration and Integrative Elaboration” (Queen’s Univ. 1979) part 1[pdf], part 2[pdf], part 3[pdf]
-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제문제 (1): 과학이론의 재구성과 인지주의 심리학 연구의 의의 (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 1994, 13.1. 21-61) [pdf]
-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재구성 (2): 인지과학적 접근에서 본 ‘마음’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(한국 심리학회지: 일반, 2007, 26, 2, 1-38) [pdf]
- 마음의 체화적 접근: 심리학 패러다임의 제 6의 변혁 (한국실험심리학회 43차 학술대회 논문집, 2008, 143-152) [pdf]
- 미래 인지과학의 응용적 의의: 체화된 마음 접근의 시사 (한국스포츠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, 2009, 19-21) [pdf]
- 체화적 인지 접근: 몸에 바탕을 둔 심리학의 새 틀 ([지식융합] 창간호, 2011, 41-70) [pdf]
- 인간 사고의 합리성과 두 인지 시스템(이정모, 2001 [인지심리학: 형성사, 개념적 기초, 조망]의 12장의 확장판) [pdf]
- 인지심리학과 과학이론, 인식론 (이정모, 2001 [인지심리학: 형성사, 개념적 기초, 조망]의 13장의 확장판) [pdf]
- 마음은 기계인가?: 튜링기계와 괴델 정리 (이정모 (편), [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(I): 인지과학적 연관] 12장) [pdf]
- Contras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discourse comprehension (with Jae-He Lee,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 2005, 16(2), 1-24) [pdf]
- Inference during discourse comprehension in Korean (with Soyoung Suh Kim & Jae-Ho Lee, in Handbook of Korean psycholinguistics, J.Lee, Y. Kim, & G. Simpson (Eds.),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) [pdf]
- “체화된 마음: 심리학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” (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 웹진 기고) [pdf]
- “인지과학, 학문간 융합, 인류 미래 사회” 확장판 (덕성여대신문 504호, 2011.12.16) [pdf]
- “뇌과학을 넘자면? 인문학, 사회과학, 자연과학, 기술의 연결점인 인지과학의 새 틀” (계간지 [시와 반시], 가을, 77호 198-211쪽) [pdf]
- “인지과학 기술과 미래 융합기술” (표준과학연구원 사보 KRISS 3/4월호 6-9쪽) [pdf]
- “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학문의 융합” (출처 미확인) [pdf]
- “인지과학과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실제” [pdf]
- “제한적 합리성 및 인지과학의 변화 흐름이 인지경제학 전개에 주는 시사” [pdf]
- 인지과학과의 만남 (2014) [pdf]
- 정년후의관심사 (2009) [pdf]
- 2010년에 내다보는 인지과학 [pdf]
- 인지과학 패러다임의 새 변화가 학문간 융합에 주는 시사 [pdf]
- 인지과학서론 (2010년 버전) [pdf]
- 인지과학 개론 (2011년 버전) [pdf]
- 언어의 뿌리 [pdf]
- 언어의 진화 [pdf]
- 인지과학과 예술 [pdf]
- 마음과 기계, 뇌의 연결 역사: 튜링 기계 이론, 체화된 마음 (A tribute to Prof. Margaret A. Boden) [pdf]
- 내러티브적 마음과 종교 [pdf]
- 한국 IT 산업, 삼성, 엘지의 미래를 구하려면? 소프트과학적 발상의 전환 [pdf]
- 21세기를 규정짓는 새 틀: 인지 시대 (동아 비즈니스 리뷰 83호, 2011.06.15 기사글의 초벌 원고) [pdf]
- 창의적 개념의 재구성 2011: 몸 활동에 기초한 창의성, 문화적 창의성, 내러티브적 창의성 (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간된 “창의성 계발을 위한 통합형 프로그램 개발: 총론” 에 게재된 원고의 초벌) [pdf]
- 이해의 원리: 심미적 쾌, 인간의 ‘앎에 추구’애 대한 한 speculation [pdf]
- 21세기 융합 테크놀로지를 여는 인지과학 [pdf]
- 인지과학은 미래에 우리의 삶과 학문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? – 인지과학이 여는 미래 [pdf]
- 어떻게 하면 기억을 잘 하는가? – 처리 깊이와 냉엄한 인지세계 [pdf]
- A reappraisal of the concept of science in psychology: The implication of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psychology [pdf]
- 내러티브적 마음과 종교 [pdf]
- 인문-사회-자연과학 융합의 현장인 인지과학은 어떠한 미래를 여는가? [pdf]
- 스티브 잡스의 떠나감을 애도하며; [In Memory of Steve Jobs] [pdf]
- 인지과학이 과학철학, 사회과학 재구성에 주는 시사 [pdf]
- The Cognitive Age: The gaps between Apple and Korean Technologies [pdf]
- 제한적 합리성 및 인지과학의 변화 흐름이 인지경제학 전개에 주는 시사 [pdf]
- 체화된 인지 (2010-2014) [pdf]
- 인지과학이 과학철학, 사회과학 재구성에 주는 시사 [pdf]
- 인지시대: 애플과 한국 (IT)기술의 간극 The Cognitive Age: The gaps between Apple and Korean Technologies [pdf]
- 체화적 인지 접근: 몸에 바탕을 둔 심리학의 새 틀 [pdf]
- 한국하버드옌칭학회-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동학술대회 – 통섭 II 학회 참관기 [pdf]
- 2011년 6월 현재 이정모가 생각하는 21세기 [인지과학]의 위상 [pdf]
- 신, 믿음, 종교,이야기: 새길 교회에 올린글 통합 [pdf]